손흥민, 15년의 기다림 끝에 유럽 정상에 서다
카테고리 없음

손흥민, 15년의 기다림 끝에 유럽 정상에 서다

by 부경정 2025. 5. 22.
728x90
SMALL

손흥민, 15년의 기다림 끝에 유럽 정상에 서다

무관의 한을 풀다

2025년 5월 22일, 스페인 빌바오의 산 마메스 바리아에서 열린 UEFA 유로파리그 결승전. 수많은 축구 팬들의 시선이 집중된 가운데, 토트넘 홋스퍼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1-0으로 꺾으며 창단 이래 첫 유로파리그 트로피를 들어올렸습니다.

그리고 그 중심엔 손흥민이 있었습니다. 함부르크에서 유럽 무대를 시작해 레버쿠젠을 거쳐 토트넘에서만 10년 이상을 뛰며 유럽 축구계를 빛낸 그. 그러나 늘 우승과는 한 끗 차이로 멀어졌던 그가, 마침내 유럽 정상에 서며 팬들의 오랜 바람을 실현했습니다.

 

유로파리그 트로피의 상징성

유로파리그 우승 트로피는 UEFA 주관 대회 중 가장 무거운 트로피로, 무게가 15kg에 달합니다. 순은으로 제작되어 화려함과 품격을 동시에 갖춘 이 트로피는 높이 65cm로, 손잡이 없이 묵직하게 제작된 독특한 디자인을 자랑합니다. 이 때문에 우승 세리머니 때 트로피를 드는 장면은 더욱 인상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UEFA 챔피언스리그의 '빅이어' 트로피보다 두 배 가까이 무거워, 실제로 들어올리기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손흥민이 웃으며 이 트로피를 번쩍 들어올린 장면은 단지 우승의 기쁨을 넘어, 그동안의 무거운 시간들을 벗어낸 해방의 상징처럼 느껴졌습니다.

 

결승전 하이라이트

경기의 흐름은 팽팽했습니다. 양 팀 모두 중원을 치열하게 장악하려는 가운데, 전반 42분 결정적인 찬스가 찾아왔습니다. 토트넘의 측면 공격수 브레넌 존슨이 문전 혼전 상황에서 침착하게 밀어 넣은 한 골이 결승골이 되었습니다.

후반전에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공세를 강화하며 여러 차례 위협적인 장면을 만들었지만, 토트넘의 수비진은 집중력을 잃지 않았습니다. 특히 후반 22분 교체 투입된 손흥민은 전방에서 공간을 넓히고, 수비로 복귀하는 헌신적인 움직임으로 팀의 밸런스를 유지했습니다.

손흥민의 헌신과 리더십

이번 시즌 주장으로 선임된 손흥민은 단순한 기술적 리더를 넘어 정신적 지주로서 팀을 이끌었습니다. 그는 결승전 전날 인터뷰에서 "모두의 순간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고, 경기 내내 그런 다짐을 실천하듯 뛰었습니다.

경기 종료 휘슬이 울린 후, 그는 동료들을 하나하나 단상 위로 이끌며 마지막 순서로 UEFA 회장 알렉산데르 체페린에게서 트로피를 건네받았습니다. 태극기를 허리에 두르고 묵직한 트로피를 높이 들어 올린 순간, 그 어느 때보다 환한 미소를 지은 손흥민의 얼굴에는 그간의 고난과 노력, 희생이 응축되어 있었습니다.

 

새로운 시작을 알리다

이날의 우승은 손흥민 개인에게 있어서는 첫 유럽 대항전 우승이라는 커리어 하이라이트이며, 토트넘에게는 구단 역사상 가장 값진 순간 중 하나였습니다. 무엇보다 이번 우승은 토트넘의 17년 무관을 끝내는 동시에, 다음 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 진출이라는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냈습니다.

손흥민은 이제 명실상부한 월드 클래스 공격수로서, 단순히 아시아 최고의 선수를 넘어 세계 무대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선수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그의 다음 행보가 더욱 기대되는 이유입니다.

Q&A

Q1: 유로파리그 우승 트로피는 어떤 특징이 있나요?

A1: 유로파리그 우승 트로피는 순은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높이 65cm, 무게는 15kg으로 UEFA 대회 트로피 중 가장 무겁습니다. 손잡이가 없고 전체가 대리석 받침대 위에 고정되어 있는 독특한 디자인을 자랑합니다.

Q2: 손흥민은 이번 결승전에서 어떤 역할을 했나요?

A2: 손흥민은 후반 22분 교체 투입되어 팀의 밸런스를 유지하며 경기 마무리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주장으로서 우승 세리머니의 중심에 섰으며, 트로피를 들어올리는 장면은 많은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Q3: 토트넘은 이번 우승으로 어떤 성과를 얻었나요?

A3: 토트넘은 2008년 리그컵 이후 17년 만에 주요 대회 우승을 차지했고, 동시에 UEFA 챔피언스리그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습니다. 이는 팀의 재도약을 의미하는 중요한 이정표입니다.

 


 

 

참고 영상


728x90
반응형
LIST

댓글


TOP

Designed by 티스토리